삼보에 관한 실천인식 ③佛法은 승가 통해 민중에 전달 |
삼보에 관한 마지막 글이므로 이제는 정리를 해야 할 것 같다. 붓다(Buddha)와 다르마(Dharma) 그리고 쌍가(Sam.gha)를 삼보(tri-ratna)라고 정의하고, 각각에 부여된 개념을 풀이하였다. 삼보는 각자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가지면서도, 서로 떼어 놓으려고 해도 떼어 놓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면 붓다는 직관으로 다르마를 발견하고, 지혜로 다르마를 깨달으며, 그리고 종교적으로 다르마를 체득함으로서 붓다가 되었다고 선언하였기 때문에, 다르마를 떼어 놓고서는 붓다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붓다는 다르마를 본질로 하고 본성으로 있기 때문에, 법성(dharmata-, 法性)이야말로 붓다의 본체인 것이다. 또한 다르마는 붓다의 직관에 의해서 발견되고, 붓다의 선언으로 말미암아 비로소 붓다의 가르침(敎法)이 되기 때문에, 붓다를 의지하지 않고서는 다르마가 존립할 수 있는 근거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을 꼭 알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쌍가는 붓다를 대신하며, 수행력과 실천성을 근거로 하여 붓다의 대리자가 되는 것이다. 그 결과 다르마를 중생에게 전수하는 역할을 띠고 있는 것이다. 쌍가는 붓다와 다르마를 떼어 놓고서는 그 존재성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논리는 서로가 서로에게 통용되는 공통분모이기 때문에 붓다와 다르마는 쌍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 결과 불교의 문화적 가치와 종교적 의의가 드러나게 되며, 쌍가의 힘을 빌려서 비로소 붓다와 다르마의 존재 이유라든가 종교적 기능이 나타나기 때문에, 붓다(Buddha)와 다르마(Dharma) 그리고 쌍가(Sam.gha)의 삼보(tri-ratna)는 떼어 놓으려고 해도 떼어 놓을 수 없는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마치 근.경.식(根境識)의 삼사화합(三事和合)에 따른 의식의 형성과정이나, 시자(施者).수자(受者).시물(施物)의 삼륜청청(三輪淸淨)에 입각한 보시의 성립과정, 또는 ‘갈대단의 비유’를 예로 들어 연기법의 공리를 해석하는 논리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붓다에 관한 학설.다르마에 관한 이론.쌍가에 관한 구성요소를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여러 가지 주장이 새로이 전개되는 것도 사실이다. 이와 같은 것은, 부파불교.대승불교.소승불교와 대승불교 사이에서의 해석학적 입장, 시대적인 상황에 따른 민중의 요구, 그리고 다른 종교와의 논쟁을 겪으면서 이론과 논리를 개발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시대와 장소에 맞는 이론과 논리를 담은 새로운 언어로 태어난 것이다. 붓다도 룸비니 동산에서 강탄하고 꾸쉬나가라에서 마하빠리니르와나에 드신 역사적인 인물로서의 샤끼야무니 붓다만이 아니라, 과거.현재.미래의 시세(時世)에 따른 붓다라든가, 법신.보신.응신의 불신설(佛身說)에 따른 불타관이 전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 것이다. 남방의 상좌부에서는 샤끼야무니 붓다만을 예배하지만, 대승불교의 법화경에서는 그리드라꾸따(Gr.dhraku-t.a, 靈鷲山)에서 법화경을 말씀하신 법신으로서의 샤끼야무니 붓다를 예배하고 있다. 정토교에서는 아미따바/아미따유쓰(Amita-bha/Amita-yus, 無量光/無量壽)붓다를, 밀교에서는 마하와이로짜나(Maha-vairocana, 大毘盧遮那) 붓다를 예배하고 있음은 긴 불교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신앙현상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다르마도 붓다가 자신의 깨달음을 말씀으로 드러낸 것이며, 말씀으로 드러난 가르침은 이고득락(離苦得樂)의 이상세계를 얻을 수 있는 길을 가르쳐주려는 것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평화롭고, 모든 사람이 누구나 다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길을 담고 있는 다르마는, 바로 쌍가의 힘을 빌려서 민중에 전달된다. 이평래 / 충남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불교신문 2690호/ 1월22일자] |
출처 : 호암산방
글쓴이 : 관문 원글보기
메모 :
'종교 > 불교기초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불교기초 교리 6. 사성제(四聖諦) ③ 괴로움의 소멸과 실천수행 (0) | 2011.11.16 |
---|---|
[스크랩] 불교기초 교리 5. 사성제(四聖諦) ② 중생 삶의 모습, 괴로움과 그 원인 (0) | 2011.11.16 |
[스크랩] 불교기초 교리 4. 사성제(四聖諦) ① 위대한 의사가 내린 삶에 대한 처방전 (0) | 2011.11.16 |
[스크랩] 불교기초 교리 2. 삼보에 관한 실천인식 ② 불교가 있는 곳에는 삼보가 있다 (0) | 2011.11.16 |
[스크랩] 불교기초 교리 1. 삼보에 관한 실천인식 ① 왜 삼보에 귀의하는가 (0) | 2011.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