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논술 따라잡기

고등학교 문법에 대하여

맑은물56 2007. 6. 28. 16:48
 

                         고등학교 <문법>에 대하여

                                              성  낙 수(한국교원대학교)


1. 머리말


 본고는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법> 교과서의 내용을 살펴 보고, 임용고사와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광복 이후 1949년부터 우리나라의 문법 교과서는 검인정으로 발행되었다. 문교부에서는 292개의 문법 용어를 제정하고, 이를 고유어와 한자어로 쓸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것을 한 책에서는 일관성 있게 사용하도록 하였다(고영근ㆍ남기심 1985:427-428). 1955년부터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가 분리되었다.

 1963년에 문법 용어의 통일이 이루어져 음성론과 구두점은 고유어를 쓰도록 하고, 품사론과 문장론은 한자어를 사용하게 하였으나, 잘 지켜지지 않다가, 1979년에 와서야 그것이 철저히 지켜지게 되었다(고영근ㆍ남기심 1985:429-430).

 문교부는 1982년에 문법을 제1종 교과서로 개발하기로 하였고, 1985년에 모든 절차를 마치고 편찬하여 고등학교에 보급하였다. 이 교과서는 그 전의 문법 교과서와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그 전의 문법 교과서가 품사 위주로 기술되었던 점에 비추어, 음운론이나 통사론, 의미론에 많은 비중을 두었고, 구조주의 언어학이나 변형ㆍ생성 이론에 입각한 내용도 들어가 새로운 면모을 보였고, 수준도 진작되었다.

 1996년부터 고등학교 <문법>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에서 편찬하였는데, 1985년의 <문법>에 기반을 두기는 했으나, 일부 내용은 상당히 축소되었고, ‘이야기, 바른 언어 생활, 표준어와 맞춤법’ 등이 새로이 첨가되고, ‘옛말의 문법’과 ‘우리말의 변천’은 부록으로 넣었다. 이 <문법>은 초등학교, 중학교에서 쓰고 있는 ‘국어 교과’의 언어 부문에 잘 반영 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우리나라 규범 문법의 대표라 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1996년부터 쓰고 있는 고등학교 <문법>의 체제와 내용을 살펴 보고, 다음 ’97년부터 실시한 임용 고사에 나온 국어학 문제를 대상으로 <문법>과 ‘국어학’ 제 분야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하기로 한다.


II. <문법>의 내용


 고등학교 <문법>에는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또는 국어교육과에서 개설하고 있는 국어학 분야의 전 과목이 망라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광범위한 내용이 들어 있다. 다만, 수준이 대학의 그것만큼 높은 것은 아니지만, 오히려 용어나 내용에 대한 설명이 간략하여 교사가 잘 가르치지 않으면, 이해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그 체제와 내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I. 언어와 국어


 이 단원에는 ‘1. 언어와 인간, 2. 국어의 특질’이 들어 있다.

 ‘언어와 인간’에서는 언어가 의사 소통의 수단임과, 언어는 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대화 상황이나 성별, 연령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언어에는 문화가 반영되어 있으며, 문학이나 과학에도 큰 역할을 담당하고, 그 지식을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과 언어는 인간의 사고 행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고,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 국민성을 결정할 수도 있음을 기술하였다.

 ‘국어의 특질’에서는 ‘음운의 특질, 어휘 특질, 문법 특질’을 다루었다. 이는 국어만의 특수성에 초점을 둔 것이다.


 II. 말소리


 이 단원에서는 ‘1. 음운과 음절, 2. 음운의 변동’을 다루고 있다. 내용이 간단하나, 실제적으로는 음운론 전반에 해당되는 것이다. 중요한 용어와 개념을 가려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운과 음절


  (1) 음성과 음운: 형태소, 음운, 음성, 변이음, 음운의 수

  (2) 음운의 체계:  모음-- 단모음, 전설 모음, 후설 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폐모                            음, 개모음, 원순 모음, 평순 모음, 반모음, 이중 모음, 울림소                            리

                   자음-- 조음 기관, 조음 위치, 조음 방법, 입술소리, 혀끝소리, 구개                            음, 연구개음, 목청소리,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안울림소리,

                   소리의 길이--긴소리, 짧은소리

  (3) 음절: 가운뎃소리, 첫소리, 끝소리


2. 음운의 변동


  (1) 음운의 변동 현상: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 동화, 구개음화, 모음 동화, 모음 조                          화, 축약과 탈락, 된소리되기

  (2) 사잇소리 현상: 합성 명사, 사잇소리


III. 단어


이 단원에서는 ‘단어의 갈래’와 ‘단어의 짜임새’를 다루고 있다. 전자는 품사론에 해당하며, 후자는 형태론에 해당하는 것이다. 중요한 용어와 개념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 단어의 갈래


  (1) 체언: 명사--고유 명사, 보통 명사, 의존 명사, 자립 명사

           대명사--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 1인칭, 2인칭, 3인칭

           수사--양수사, 서수사

           체언의 용법--주어, 목적어, 보어, 관형어, 부사어, 서술어

  (2) 관계언: 격조사--주격 조사, 관형격 조사, 목적격 조사, 부사격 조사, 호격 조사,                         보격 조사, 서술격 조사

              접속 조사

              보조사

  (3) 용언: 동사--자동사, 타동사

           형용사--성상 형용사, 지시 형용사

           보조 용언--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 본용언

           용언의 활용--어간, 어미, 기본형, 어말 어미, 선어말 어미, 종결 어미, 평서                           형 어미, 감탄형 어미, 의문형 어미, 명령형 어미, 청유형 어                            미, 연결 어미, 대등적 연결 어미, 종속적 연결 어미, 보조적                            연결 어미, 전성 어미, 관형사형 어미, 명사형 어미, 불규칙 활                           용, 불규칙 용언, 불완전 동사

  (4) 수식언: 관형사--성상 관형사, 지시 관형사, 수 관형사

             부사--성상 부사, 지시 부사, 부정 부사, 의성 부사, 의태 부사, 성분 부사,                     문장 부사, 접속 부사

 (5) 독립언: 감탄사


2. 단어의 짜임새


  (1) 형태소와 단어: 구와 어절--어절, 구

                    형태소--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단어

  (2) 단어의 형성: 단일어, 복합어, 접사, 파생어, 합성어

                  파생어의 형성--접두사에 의한 파생어,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

                  합성어의 형성

                  한자어의 형성


IV. 문장


 이 단원에서는 ‘문장의 짜임새’와 ‘문법 기능’을 다루고 있다. 즉 통사론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문장의 성격, 성분, 겹문장에 관한 것과 굴곡 접사로 이루어지는 문법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1. 문장의 짜임새


  (1) 문장의 성격: 문장--주어부, 서술부, 문장 성분, 성분의 재료

                  문장의 성분--주성분, 부속 성분, 독립 성분

                  성분의 재료

  (2) 문장 성분: 서술어--한 자리 서술어, 두 자리 서술어, 세 자리 서술어

                주어

                목적어

                보어

                관형어

                부사어--성분 부사어, 문장 부사어

                독립어

   (3) 겹문장의 짜임새: 홑문장과 겹문장--홑문장, 겹문장, 문장의 확대

                       안은 문장--명사절로 안은 문장, 관형절로 안은 문장, 부사절로                                    안은 문장, 인용절로 안은 문장, 간접 인용절, 직접                                     인용절, 안은 문장의 문법 현상, 안긴 문장, 이어진                                     문장,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                                    장, 이어진 문장의 문법 현상

                      

2. 문법 기능


   (1) 문장 종결: 문장 종결법

                 평서문

                 감탄문

                 의문문: 판정 의문문, 설명 의문문, 반어 의문문, 수사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2) 높임 표현: 높임법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3) 시간 표현: 사건시, 시제

                 현재 시제

                 과거 시제

                 미래 시제

                 동작상--동작상, 진행상, 완료상

   (4) 사동 표현: 주동, 사동, 파생적 사동문, 통사적 사동문, 직접 사동, 간접 사동

   (5) 피동 표현: 능격, 피동

   (6) 부정 표현: 긍정, 부정


V. 의미


 이 단원에서는 ‘언어와 의미’와 ‘단어 간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는 의미론에 관한 것으로 언어의 의미와 그 종류, 다양한 단어 간의 의미 관계를 다룬 것이다.


 1. 언어와 의미


   (1) 언어의 의미: 지시설, 청각 영상, 지시 대상, 개념, 개념설, 추상화 또는 개념화,                       자의성

   (2) 의미의 종류: 중심적 의미와 주변적 의미--다의성, 다의어, 중심적 의미, 주변적                                                    의미

                   외연적 의미와 내포적 의미--외연적 의미, 내포적 의미

                   사회적 의미와 정서적 의미--사회적 의미, 정서적 의미 


  2. 단어 간의 의미 관계


   (1) 유의 관계: 유의어, 동의어

   (2) 반의 관계: 반의어

   (3) 하의 관계: 하의어, 상의어


VI. 이야기

 이 단원에서는 ‘이야기의 구성과 기능, 장면에 따른 표현과 이해’를 다루고 있다. 즉, 화법에 관한 내용이라고 보면 된다.


 1. 이야기의 구성과 기능


   (1) 이야기와 장면: 장면

   (2) 이야기의 구조: 발화

   (3) 발화의 기능: 기능


  2. 장면에 따른 표현과 이해


   (1) 장면에 따른 표현: 원근에 따른 표현--맥락

                         높임 관계에 따른 표현--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합쇼체, 해                                                    체, 해요체

                         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표현

                         질문과 대답

                         성분 생략 표현


   (2) 장면에 따른 이해


VII. 바른 언어 생활


 이 단원에서는 ‘규범, 발음, 단어, 문장’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1. 규범


   (1) 바른 말: 규범

   (2) 고운 말: 외래어, 외국어, 비어, 속어, 은어, 욕설

 

  2. 발음


   (1) 음운의 발음

   (2) 소리의 길이

   (3) 변동된 음운의 발음

   (4) 외래어의 발음

  

  3. 단어


   (1) 적합한 단어의 선택

   (2) 단어의 바른 사용

   (3) 자연스러운 표현


  4. 문장


   (1) 문법에 맞는 문장

   (2) 명확한 문장

   (3) 논리적이고 구체적인 문장


  VIII. 표준어와 맞춤법


 이 단원에서는 ‘표준어’와 ‘맞춤법’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즉, 국어 정서법에 관한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1. 표준어: 방언

   2. 맞춤법: 단어 문자, 음절 문자, 음운 문자, 이어적기, 끊어적기, 표음주의, 표의주의


부록: 옛말의 문법--문자와 말소리, 단어, 문장, 이야기

        우리말의 변천--국어의 형성과 역사, 음운의 변천, 어휘의 변천, 문법의 변천,                              의미의 변천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문법>은 대학교에서 교과로 개설하고 있는 ‘국어 음운론, 국어 형태론, 국어 통사론, 국어 의미론, 국어 정서법, 화법, 중세 국어, 국어사’를 망라한 내용이 개략적으로나마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II. ‘임용 고사’와 <문법>의 관련성


 ‘임용 고사’에서는 대학의 ‘국어 국문학과’나 ‘국어 교육과’에서 보통 분류하고 있는 세부 학문 분야와 동일하게 출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를 크게 나누어 보면, ‘국어 교육학, 고전 문학, 현대 문학, 국어학’이 된다. <문법>과 관련된 것은 물론 ‘국어학’ 분야다.

 이 장에서는 <문법>이 1997부터 1999년까지 실시되었던 ‘임용 고사’에서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예를 들며 살펴 보기로 한다.

  

1. ‘97년도 공립학교 교사 및 양호교사 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 실제 문제에서


  <문제1> 국어의 주체 높임법을 다음의 예문을 자료로 하여 설명하시오.

   

        (1) 선생님께서 오십니다.

        (2) 할아버지께서는 돈이 많으시다.

        (3) 엄마 어디 가셨니?(화자:어머니의 친구, 청자:중학생인 자녀)

        (4) 아버님, 아범은 회사에 갔어요.(화자:며느리, 청자:시아버지)


위 문제는 <문법> 교과서 ‘IV. 문장’의 ‘2. 문법 기능’ 중 ‘(2) 높임표현’과 ‘VI. 이야기’의 ‘1. 이야기의 구성과 기능’ 중 ‘높임 관계에 따른 표현’과 연관되어 있다. 대학에서는 물론 이보다 훨씬 수준이 높은 내용을 배우지만, <문법> 교과서에 실린 것만으로도 충분히 답할 수 있는 문제다.


   <문제2> 다음 (1)-(4)와 같은 용언의 활용에서 나타나는 형태 변동이 불규칙 활용인지 아닌지            각 항목별로 구체적인 증거를 들어 설명하고, 불규칙 활용에 대해 정의하시오. 그리고            이 정의를 적용하여 (5)의 예를 설명하시오.


         (1) 잇 + (으)니 --> [이으니]

         (2) 자 + 아/어  --> [자]

         (3) 먹 + 는 --> [멍는]

         (4) 하 + 아/어 --> [하여]

         (5) 안(抱) + 고 --> [안꼬]


  위의 문제는 <문법> 교과서 ‘III. 단어’의 ‘(3) 용언:동사, 형용사’ 중 ‘용언의 활용’에서 다루고 있으며, ‘II. 말소리’의 ‘(1) 음운의 변동 현상’과 연관되어 있다. 이 문제는 <문법>에 있는 내용만으로는 만족스런 답안을 작성하기 어렵다. 이 문제와 관련된 ‘국어 문법론’과 ‘국어 음운론’을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문제3> 訓民正音 초성 17자의 체계를 표로 정리하여 나타내고, 그 制字原理를 밝히시오(7점).


 이 문제는 중세 국어, 국어사와 관련된 문제로 <문법> 교과서 부록 ‘I. 옛말의 문법’의 ‘1. 문자와 말소리’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2. ‘98년도 임용 고사 문제에서


  <문제1> 중세, 근대, 현대 국어의 모음에 대하여 조건에 맞게 설명하라(500자 내외로 설명할             것).


          ① 모음 체계의 변화를 설명할 것

          ② 이중 모음도 포함시켜 설명할 것


 위의 문제는 <문법>의 ‘II. 말소리, 1. 음운과 음절’ 중 ‘음운의 체계’, ‘부록 I. 옛말의 문법, 1. 문자와 말소리’ 중 ‘문자’, ‘부록 II. 우리말의 변천, 1. 국어의 형성과 역사’ 중 ‘2. 음운의 변천’과 관련이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국어 음운론, 중세 국어, 국어사’를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문제2> 아래 자료를 참고로 하여 사동문의 문법적 기능, 유형, 의미 특성 등에 대해 설명하            라(400자 내외로 쓸 것).


           ① 영수가 책을 읽었다.

           ② 선생님께서 영수에게 책을 읽히셨다.

           ③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하셨다.

           ④ 우리집에서는 소를 먹인다.


 위의 문제는 <문법>의 ‘IV. 문장, 2. 문법 기능’ 중 ‘사동 표현’과 관련이 있는데, 자세한 것은 ‘국어 통사론, 국어 의미론’을 참조하여야 한다.


   <문제3> 아래 예에서 홑문장의 확장 방법, 안은 문장의 유형, 관여하는 어미, 조사, 접사 등             을 밝히고, 안은 문장의 문법 현상을 예문을 중심으로 설명하라(500자 내외로 쓸                 것).


            ① 철수가 돌아왔다.

            ② 나는 철수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③ 바람도 잠잠하고 하늘도 맑다.

            ④ 이 책은 글씨가 너무 잘다.

            ⑤ 네가 깜짝 놀랄 일이 생겼다.

            ⑥ 산그림자가 소리도 없이 다가온다.

            ⑦ 나는 그의 말이 옳다고 생각한다.

            ⑧ 나무꾼은 나에게 도와 주기를 바랐다. //나무꾼은 나에게 (자기를) 도와 주기를                 바랐다.


 위의 문제는 <문법>의 ‘IV. 문장, 1. 문장의 짜임새’, ‘III. 단어, 단어의 갈래 중 조사, 단어의 짜임새 중 형태소와 단어’와 관련이 있다.




3. '99년 전기 임용 고사 문제에서


  <문제1> 단어의 형성에서 합성어 형성의 원리를 유형화하여 설명하시오. 그리고 그 유형에 따           라 <보기>의 자료를 분류한 다음, 그 근거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되, 400자 내외가 되도           록 하시오.


         <보기> 큰아버지, 늦잠, 부슬비, 덮밥, 들어가다, 안팎, 춤추다, 뛰놀다


 위의 문제는 <문법>의 ‘III. 단어, 2. 단어의 짜임새’와 관련이 있으나, 자세한 것은 ‘국어 형태론’을 참조하여야 한다.


  <문제2> 우리말의 높임법에 대하여 선어말 어미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보기>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 <조건>에 맞게 500자 내외로 기술하시오.


        <보 기>

       (가) (태조가) 셤 안해 자 제 한비 사리로 뷔어 니다. <용비어천가 67장>

       (나) 善女人이…無量壽佛  나 正法 듣고져 發願호 <월인석보 권9>

       (다) 千世 우희 미리 定샨 漢水 北에, 累仁開國샤 卜年이 업스시니, (용비어천가 125장)      

               

     < 조건 >

    1. <보기>를 자료로 높임법과 관련된 중세 국어의 선어말 어미를 유형화하고, 그 문법 기능을 설명할 것.

    2. (나)에 밑줄 친 부분에 나타난 높임법이 현대 국어에서는 어떻게 수행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

  


 위의 문제는 <문법>의 ‘부록 I. 옛말의 문법, (2) 문법 기능’ 중 ‘높임 표현’과 관련이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중세 국어, 국어사, 국어학사’를 참조하여야 한다.


    <문제3> 담화는 유형에 따라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만들어지지만, 하나 이상의 목적이 복합              되어 있는 경우도 흔히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담화의 기능에 대하여 다음 <조건>에               맞게 설명하시오. (5점)

      <보기 >

    자동차는 안전이 생명입니다. 우리 회사에서는 자동차 제동 거리 단축 장치를 새로 개발하였습니다. 한 번만 밟아 주면, 브레이크가 수십 회 자동으로 작동하여 제동 거리를 줄여 줍니다. 이 장치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이나 추돌의 위험을 덜어 줍니다. 이 장치가 삼 년 이내에 고장나면 즉시 수리해 드리거나 새 제품으로 교체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주문하십시오.


        < 조건>

      1. 담화를 몇 가지로 유형화하고 그 예를 들 것.

      2. <보기>의 담화에 나타난 복합적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

       * 300자 내외로 쓸 것.


 위의 문제는 <문법>의 ‘IV. 이야기, 1. 이야기의 구성과 기능’ 중 ‘발화의 기능’과 관련이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화법’을 참조하여야 한다.


4. ‘99년도 후기(5월) 임용 고사 문제에서


     <문제1> <보기>에 제시된 문장을 활용하여 국어 피동 표현의 문법적 기능, 유형, 중세 국어에서의 피동표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보기>

 

 

 

㈎ 언니가 동생을 업었다.

㈏ 동생이 언니에게 업히었다.

㈐ 학술 조사단에 의해 역사의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 철수가 칭찬을 들었다.

㈒ 東門이 도로 다티고(󰡔�월인석보󰡕� 1, 8)

㈓ 뫼해 살이 박거늘(󰡔�월인천강지곡󰡕� 기 41)


 위의 문제는 <문법>의 ‘IV. 문장’ 중 ‘2. 문법 기능, 피동 표현’과 ‘부록--I. 옛말의 문법’의 ‘3. 문장, (2) 문법 기능, 피동 표현’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 책에 있는 내용만으로도 좋은 답안을 만들 수 있다.

   

  <문제2> 학교 문법에서는 시제를 ‘과거/현재/미래’로 구분하는 삼분법적 체계를 택하고 있다.            이러한 체계를 비판하는 수업을 탐구 과정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보기>에 제시한 예             문을 활용하여 아래의 <조건>에 맞추어 서술하시오.

 

<보기>

 

 

 

㈎ 철수는 지금 교실에서 책을 읽는다.

㈏ 나는 어제 보고서를 완성했다.

㈐ 내일도 바람이 불겠다.

㈑ 그 여자는 벌써 집에 도착했겠다.

㈒ 지금은 고향에도 꽃들이 만발하겠지?

㈓ 그 일은 제가 꼭 하겠습니다.

        < 조건>

      1. 시제의 개념 및 학교 문법의 삼분법적인 체계를 설명할 것.

      2. 수업의 목표는 시제에 대해 새로운 체계를 수립하기보다는 삼분법적인 체계를

         비판하는 데서 둘 것.

      3. 탐구 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할 것.

     


 위의 문제에 관하여는 <문법>의 ‘IV. 문장, 2문법 기능’ 중 ‘시간 표현’과 관련이 있으나, 문제는 이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아야 하므로, ‘국어 통사론’에서 ‘시제’ 또는 ‘시상’과 관련된 내용을 참고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문제3> <보기>에서 생략된 말을 말하고, 그 이유를 문법적으로 설명하시오.

 

<보기>

 

 

 

소나무는 토양(土壤)을 까다롭게 가리지 않으나 산성 토양을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우리 나라의 솔숲은 화강암이 풍화된 토양, 곧 공기가 잘 통하고 물이 잘 빠지는 산성 토양인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위의 문제는 <문법>의 ‘VI. 이야기, 2.장면에 따른 표현과 이해’에서 ‘성분 생략 표현’과 관련이 있으나, 문장 성분과 관련 있는, ‘IV. 문장, 1. 문장의 짜임새’에서 ‘겹문장의 짜임새’를 참고하면 된다.


   <문제4> <보기>의 (가)와 (나)에 제시된 단어들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보기>

 

 

 

㈎ 아기의 은 매우 귀엽다.

   농촌에서는 지금 이 모자란다.

   나는 지금부터 그 사람과 을 끊겠다.

㈏ 배[船]/ 배[腹]/ 배[梨]/ 배[倍]


 위의 문제는 <문법>의 ‘V. 의미, 1. 언어의 의미’와 관련이 있으나, ‘동음 이의어’에 관한

사항은 없으므로, 국어 의미론을 참고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문제5> <보기>에 제시된 자료를 참고하여 우리말 받침의 발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점)

       

 

<보기>

 

 

 

  ㈎ 닦다(닥따) 키읔(키윽) 옷(�) 웃다(�ː따) 있다(�따) 젖(�)

     빚다(�따) 꽃(�)  쫓다(�따) 솥(�)  뱉다(�ː따) 앞(압) 덮다(덥따)

  ㈏ 넋(넉) 넋과(넉꽈) 앉다(안따) 여덟(여덜) 넓다(널따)

   외곬(외골) 핥다(할따) 값(갑)

  ㈐ 밟다(밥ː따) 밟소(밥ː쏘) 밟지(밥ː찌)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 젖으로(저즈로) 젖어미(저더미) 겉에(거테) 겉옷(거돋) 헛웃음(허두슴)

        < 조건>

      1. <보기>를 자료로 하여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설명할 것.

      2. <보기>의 각각의 경우에 대한 설명을 포함할 것.


 위의 문제는 <문법>의 ‘II. 말소리, 2.음운의 변동’과 ‘VIII. 표준어와 맞춤법, 1. 표준어’와 관련이 있으나, ‘표준어 규정’ 중 ‘표준 발음법’에 관한 사항이 자세히 언급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규정을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IV. 맺는 말


 이상으로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그 체제와 내용을 살펴보고, ’97년부터 ’99년 5월까지 실시된 임용 고사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논의하여 보았다.

 <문법>은 고등학생들에게 ‘국어지식’을 교수하려고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내용이 간략하기는 하나, 실제적으로는 대학교에서 개설하고 있는 국어학 전반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양에 있어서는 엄청난 것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 이는 교육자나 피교육자들에게 많은 부담을 주고, 특히 교육자는 교과서 밖의 전문 내용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교수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임용 고사에 나온 문제 중 국어학 분야는 <문법>과 직접적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문법>에서는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험생은 대학교에서 개설하고 있는 국어학 전공 과목을 잘 알고 있어야, 좋은 답안을 작성할 수 있다. 그것도 어느 특정 과목에만 집중하여서는 별 효과가 없고, 모든 과목을 섭렵해야만 함은 물론이다.

 



 <참고 문헌>


 고영근ㆍ남기심(1985), 표준 국어문법론, 서울:塔出版社.

 노대규 외(1995), 국어학 서설, 서울:신원문화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 연구소(1996), 고등학교 <문법>, 서울:교육부.

 성균관대학교 대동 문화 연구원(1991), 고등학교 <문법>, 서울:문교부.

 성낙수(1999), 국어학 예상 문제집(上ㆍ下), 부산:동남기획.

 이희승ㆍ안병희(1991), 한글 맞춤법 강의--한글 맞춤법/표준어 규정/외래어 표기법,                         서울:신구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