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아찌아족 한글교육 1년…글 실력 `괄목상대'>
도로 곳곳 한글 표지판…"한글은 더 나은 삶 꿈꾸는 수단"
(바우바우<인도네시아>=연합뉴스) 안홍석 기자
한글이 보급된 지 겨우 1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에게는 이미 생활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었다.
연합뉴스 취재진이 지난 17일 오전 한글로 된 교과서로 찌아찌아어를 가르치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州) 바우바우시(市)의 까루야바루 초등학교를 찾았을 때 한글 열풍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심에서 승합차를 타고 20여분 달려 찌아찌아족이 사는 소라올리오 지구에 도착하자 유일한 현지 한글교사인 아비딘 씨가 만들었다는 한글 도로 표지판이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그날은 훈민정음 학회에서 파견 나온 한국인 교사 정덕영(49)씨가 이 학교 4학년 A, B반 학생들에게 첫 한글 수업을 했다. 까르야바루 초교는 지난해 7월21일 4학년 학생들을 상대로 처음 한글 수업을 했고, 이달 시작된 새 학년도부터는 5학년으로 올라간 학생들과 새로 4학년이 된 학생이 한글을 배운다. 학교에 들어서자 쉬는 시간에 운동장에서 뛰놀던 학생들이 달려와 한국말로 취재진을 반겼다. 경계심과 호기심이 뒤섞인 눈빛막� 기자를 멀찌감치서 바라보기만 했던 지난해와는 크게 달라진 모습이었다. "꼬니에모? 안까당안 머눌리스. 사뚜 두와.(알았니? 다같이 써봐요.하나 둘.)"학교 왼편에 있는 50㎡ 남짓한 넓이의 작은 교실로 들어서자 정씨가 인도네시아어와 찌아찌아어를 섞어가며 한글을 가르치고 있었다. 4학년 A, B반 학생 44명은 검은 눈동자를 반짝이며 '기역, 니은, 디귿, 리을'을 그리는 정씨의 손끝을 주시했다. 책걸상이 부족한 탓에 의자 2개를 붙여 3∼4명의 학생이 걸터앉아있는 모습이 다소 불안해 보였지만 정씨가 그린 글자를 노트에 꾹꾹 눌러 받아적는 학생들의 눈빛에서는 열 살짜리 답지 않은 열정이 엿보였다. 그야말로 `열공모드'였다. 정씨가 호명한 학생들이 하나하나 칠판 앞으로 나와 글자를 쓰자 학생들이 환호성과 함께 손뼉을 쳤다. 교실 밖에서 까치발을 하며 수업을 참관하던 5학년 학생들도 큰 박수를 보냈다. 이날 수업에서 학생들이 한글로 된 이름표를 만들기도 했다. 대부분은 한글을 처음 접한 탓에 정씨와 취재진이 일일이 이름을 써줘야 했지만 예닐곱 학생들은 A4용지를 3등분 한 종이에 또박또박 자신의 이름을 직접 적어 냈다. '이안'이라고 쓰인 이름표를 책상 위에 올려놓고, 정씨의 도움을 기다리는 옆자리 학생들 사이에서 의기양양해하던 한 소녀는 "근처 사촌 언니에게서 어깨너머로 배웠다"고 자랑했다. 자신의 이름표를 일찌감치 만들어 놓고 주변 급우들의 이름표를 만들어주던 누르살마(10)양은 "5학년인 동네 오빠의 교재를 보고 혼자 글을 깨쳤다"고 말했다. 정씨는 "1년간 한글을 배운 5학년 학생의 99%가 찌아찌아어를 한글로 완벽히 표기하고 읽을 줄 안다"면서도 "한글이 워낙 배우기 쉬워 '반나절 문자'라지 않나. 크게 놀라운 일은 아니다"며 빙그레 웃었다. 이곳 학생들에게 한글은 전통과 문화를 지키는 도구임과 동시에 더 나은 삶을 꿈꾸게 하는 매개체이기도 했다. 이틀 뒤 취재진이 한글과 함께 한국어 교육도 하는 제6고교 2학년 교실을 찾았다. 앞자리에 앉은 장신의 학생이 교실 앞으로 나가 한국말로 "준비됐나요?"라고 외치자 학생들은 "파란하늘 하늘색 풍선은 우리 맘속에 영원할거야∼"로 시작되는 가수 GOD의 '하늘색 풍선'을 부르기 시작했다. 학생들의 발음은 1년간 배운 한국어 실력이라고 하기에는 믿을 수 없을 만큼 정확했다. 학생들은 몇 달 전 한국어 교육 자원봉사를 위해 서울에서 온 대학생이 가르쳐준 노래라고 귀띔했다. 학생들은 한국어의 복잡한 어미 변형과 다양한 조사는 완전히 깨치지 못했지만, 실생활에 쓰이는 기본적인 어휘 정도는 대부분 알고 있어 의사소통에 큰 무리가 없을 정도였다. 자신을 "까루야바루에서 사는 누리안또"라고 한국말로 소개한 키 큰 학생은 취재진을 학교에서 3㎞ 정도 떨어진 자택으로 초대했다. 그는 한국어를 조금이라도 더 연습하려는 듯 집으로 향하는 내내 쉴 새 없이 서툰 한국말로 질문을 던졌다. 누리안또의 방에 들어서자 '한국에 가고 싶다' '저는 한국에 가고 싶어요. 그리고 한국에 살고 싶어요'라고 쓰여있는 메모지가 페인트칠이 군데군데 벗겨진 나무 벽 곳곳에 붙어 있었다. 사람 한 명이 겨우 누울 수 있을 정도로 좁은 방안에는 어두운 밤에 겨우 글자를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불빛이 약한 전구 하나가 흐릿하게 켜 있었다. 그는 같은 반 친구인 삼시르에게서 빌린 사전과 얼마 전 다른 친구에게서 선물 받은 교재로 매일 밤늦게까지 한국어를 공부한다고 했다. 언젠가 한국 여행업체에서 일하고 싶다는 누리안또는 처음에는 한국어가 어렵게 느껴져서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지만 삼시르가 지난 겨울 서울시의 초대로 한국에 갔다 와서 자랑을 늘어놓자 마음을 바꿨다고 했다. 바우바우시에 거주하는 찌아찌아족은 8만여명이지만 누리안또의 부모를 포함한 대부분은 농업, 어업 등 1차산업에 종사한다. 중앙이나 지방의 관직은 대부분 울리오족이 차지했고, 상업은 다른 여느 동남아시아 지역과 마찬가지로 화교가 주도권을 장악했다. 한국외대 인도네시아어학과 전태현 교수는 27일 "사실상 이곳은 인도의 카스트 제도와 같은 공고한 신분제가 아직 존속하는 지역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