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인연법
모든 불제자들이여,내가 이제 십이인연이 생기고 없어지는
모양을 다시 말하리니, 너희들이 이 나고 없어지는 법을
분명히 알면,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는 법을 깨달아
부처님들과 같이 큰 열반을 얻게 되리라.
이른바 무명은 행을 연기하고, 행은 식을 연기하고, 식은 명색을 연기하고, 명은 육입을 연기하고, 육입은 촉을 연기하고, 촉은 수를 연기하고, 수는 애를 연기하고, 애는 취를 연기하고, 취는 유를 연기하고, 유는 생을 연기하고, 생은노사와 우비고뇌를 연기하느니라.
또 무명이 멸하면 행이 멸하고, 행이 멸하면 식이 멸하고, 식이 멸하면 명색이 멸하고, 명색이 멸하면 육입이 멸하고, 육입이 멸하 면, 촉이 멸하고, 촉이 멸하면, 수가 멸하고,수가 멸하면, 애가 멸하고, 애가 멸하면, 취가 멸하고, 취가 멸하면, 유가 멸하고, 유가 멸하면 생이 멸하고, 생이 멸하면 노사와 우비고뇌도 멸하느니라.
"지난 세상 내가 지은 모든 죄악은
끝이 없는 탐심 진심 치심 탓이니
몸과 말과 마음으로 지은 온갖 죄"
모든 것을 부처님께 참회합니다.
모든 것을 부처님께 참회합니다.
모든 것을 부처님께 참회합니다.
나무 청량지 보살마하살.
나무 청량지 보살마하살.
나무 청량지 보살마하살.
십이인연법(十二因緣法)
십이연기법(十二緣起法)이라고도 합니다.
중생과 세계가 생겨나는 이치를 말한 것으로 모든 것은 인연으로부터 일어났다가 인연이 다하면 멸하여 공(空)이 된다는 뜻입니다.
불교는 인간이 죽음을 포함한 모든 고뇌에서 벗어나는 문제에 대해 명백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의 근본적인 고뇌(八苦)는 숙명적이거나 우연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무지가 원인이 되어 받게 되는 필연적인 결과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연기에 따라 고(苦)의 원인을 밝히고 단계적으로 고뇌가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 12연기법 입니다.
12연기를 12지(支) 연기라고도 합니다.
지(支(지))란 가지라는 뜻으로 고(苦)가 일어나는 단계를 12가지로 분석한 것입니다.
인간의 고뇌는 무명(無明)에서 비롯됩니다. 즉 인간은 밝혀 알았느냐(明), 밝히지 못했느냐(無明)에 따라 모든 업(業)과 괴로움, 생사윤회가 비롯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명과 무명 사이에는 과연 어떤 차이가 있는지 12연기의 차례에 따라 살펴보기로 합시다.
첫째, 무명(無明)입니다.
실재하지 않는 무상한 것을 실체로 착각하고 그 무상한 혗에를 완전하고 영원한 것으로 집착해버리는 어리석음을 말합니다.
즉 진리에 대한 무지(無知)입니다. 연기(緣起)와 사제(四諸)의 도리도 모르고, 선악도 모르고, 참다운 인생관도 없으니
인생의 고뇌와 불행이 생기는 원인이 됩니다.
둘째, 행(行)입니다.
이처럼 밝지 못한 상태(無明)로 행동하고 말하고 생각함으로써 습관, 성격, 소질 등 바르지 못한 자기가 형성되어 갑니다.
즉 이른바 업(業)이 지어지는 것입니다.
셋째, 식(識)입니다.
이러한 행(行)에 의해 형성된, 잠재된 힘으로 육근(六根)을 통해 받아들인 모든 인식을 판단하는 작용을 하게 됩니다.
분별하는 인식작용을 말합니다.
넷째, 명색(名色)입니다.
명(名)은 정신적인 것을 말하며 색(色)은 물질적인 것을 말합니다. 명색은 물질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이 결합된 상태로 인식작용에
의해 일체의 존재가 현상적으로 나타남을 말합니다.
다섯째, 육처(六處)입니다.
명색이 있으므로 그것을 지각하는 능력이 일어납니다.
곧 눈, 귀, 코, 혀, 몸, 지(意志)라는 육처가 그것입니다.
여섯째, 촉(觸)입니다.
촉이란 <접촉한다> <충돌한다> 라는 뜻으로 감각하는 기관(육처)과 그 대상인 육경(六境: 色, 聲, 香, 味, 觸, 法)과 감각,
지각의 주체(六識: 眼識, 耳識, 鼻識, 舌識, 身識, 意識)가 화합, 접촉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이 세가지가 만나므로 감각과 지각의 인식작용이 생기는 것입니다.
일곱 번째, 수(受)입니다.
수(受)는 감수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촉에 의해 즐거움이나 괴로움, 그리고 즐거운 것도 아니고 괴로운 것도 아닌 느낌의
세 가지가 일어납니다.
여덟 번째, 애(愛)입니다.
애(愛)는 심한 욕구(渴)를 말합니다. 受에 의해 일어난 맹목적인 욕심을 말하는 것입니다.
아홉 번째, 취(取)입니다.
애(愛)에 의하여 일어난 욕구가 추구하는 대상을 소유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그릇된 소유의 마음으로 살상하고 훔치며 망녕된
언어를 사용하고, 사취하는 등 몸과 언어로써 업(業)을 짓게 됩니다.
열 번째, 유(有)입니다.
취(取)에 의하여 <있음>이 발생합니다. 몸과 말로서 짓는 행동 뒤에 일어납니다. 유(有)에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욕망이 있는 욕계(欲界)와 욕망은 없으나 물질이 남아 있는 색계(色界)와 욕망과 물질은 없으나 정신적인 것이 남아 있는
무색계(無色界)가 그것입니다. 이 삼계는 모두 생사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열한번째, 생(生)입니다.
이러한 유(有)로 말미암아 존재 자체가 형성됩니다.
열두번째, 노사(老死)의 우비고뇌입니다.
생으로 말미암은 늙음과 죽음의 괴로움을 말합니다.
즉 생사에서 비롯되는 근심과 슬픔과 번뇌와 괴로움이 있게 됩니다. 이 생과 사는 단순히 육체적인 생사만이 아니라 자신이 나고
죽는다는 생각에서 오는 정신적인 괴로움을 말합니다
이렇듯 12연기는 무명으로 인해 발생해서 노사에 이르기까지 고(苦)가 연기한다는 것인데
이것을 탈피하려면 계속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배워서 업을 소멸시키는 길 밖에 없습니다.
'종교 > 나를 찾아 가는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체와의 만남 /일지희망편지 (0) | 2010.11.19 |
---|---|
108배의 의미 (0) | 2010.11.15 |
[스크랩] 십이인연법(十二因緣法)-불교용어 (0) | 2010.11.15 |
현존 / 인경스님 (0) | 2010.11.15 |
[스크랩] 가을은.... (0) | 2010.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