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옷을 숭상하여 백의민족이라고 불리웠던 한국인에 있어서 의관은 권위와 체면의 상징 |
남자의 의생활 |
남자옷의 기본형은 바지, 저고리에 포(袍)를 입고 갓을 쓴 형태이다. 남자 갓은 초기에는 상류층에서만 착용하였으나 중기에 천민을 제외한 일반인 모두가 썼다. |
종 류 |
설 명 |
사 진 |
적 삼 |
삼베적삼으로 홑저고리라고도 하며 주로 여름철에 입었다. 형태로 보아 조선후기 때의 복식이다. |
|
바 지 |
삼베로 지은 여름철 홑바지이다. 바짓가랑이가 넓어 끝을 대님으로 매게 되어 있다. |
|
갓 |
조선시대에 남자가 바깥 출입을 할 때 착용하는 대표적인 관모이다. 말총으로 만들어 옻칠을 하였는데 시대에 따라 크기의 변화가 있었다. 이 갓은 대원군의 입제(笠製)를 개혁한 후의 갓으로 보인다 |
|
신 발 |
<짚신>
<나막신> |
|
여자의 의생활 |
여자옷은 치마, 저고리이지만 고려시대 이전에는 바지도 입었다. 치마, 저고리의 모습은 |
종 류 |
설 명 |
사 진 |
적 삼 |
무명 속적삼으로 저고리 속에 받쳐 입는 옷이다. 적삼은 저고리보다 약간 작게 만들어 입으며 고름 대신 매듭단추를 달았다. |
|
저고리 |
여자저고리의 가장 특색있는 요소의 하나인 회장을 단 반회장저고리이다. 주로 봄, 가을용으로 명주 저고리이다. |
|
치 마 |
여자가 입은 하의로서 말과 치마폭 사이에 넉넉한 주름을 많이 잡아 치마단을 풍성하게 하여 입었다. |
|
족두리 |
조선시대 궁중과 사대부가의 여인들이 의례 때 사용하는 관모의 일종이다. 서민들은 혼례 때 예복인 원삼과 함께 사용하였다. |
|
빗 |
위의 얼레빗은 흐트러진 머리를 정리하는데 쓰이며 아래의 참빗은 가늘고 촘촘하여 서캐를 빼거나 머리에 기름을 발라 정갈하게 빗을 때 쓴다. |
|
물 레 |
솜이나 고치 또는 털 따위의 섬유를 자아 실을 뽑는 기구이다. |
|
다듬이질 |
다듬이질은 옷 손질 방법의 하나로써 옷의 구김살을 펴고 윤기를 내게 하는 일이다. 도구로는 다듬이돌과 다듬이방망이, 홍두깨를 사용한다. |
|
골 무 |
바느질을 할 때 검지의 끝에 끼고 바늘 귀를 밀어주는 도구이다. 바늘 귀에 손을 상하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
|
우리 나라는 남북으로 길고 동서로 좁아 기후에 차이가 있으며, 지형상으로도 북부는산간 지대인 반면 남부는 큰 강을 중심으로 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어 지역마다 특징있는 음식들이 발달하였다. |
|
식생활에 쓰이던 물건들 |
종 류 |
설 명 |
사 진 |
상 |
일상적으로 쓰이는 밥상으로 다리의 모양이 호랑이 다리처럼 만들어진 12각 소반이다. 운각을 달았고 가락지를 끼우지 않았으며, 상판에 비해 다리를 튼튼하게 처리한 나주반이다. |
|
수 저 |
숟가락과 젓가락이 한벌을 이룬다. 수저는 상고시대에는 주로 청동제품이었고 이어서 놋쇠, 백동, 은으로 변천되었으며 형태도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
|
도시락 |
외출할 때, 나무나 들일을 하러 갈 때 점심을 싸가지고 다니는 도시락이다. 재료는 버들이나 대로 만들었으며 형태는 장방형, 원형 등이 있다. |
|
키 |
곡식을 까불러서 쭉정이, 검불 등 불순물을 걸러내는데 사용한다. 키에 곡식을 담고 키질을 하면 가벼운 것은 날아가거나 앞에 남고 곡식은 뒤로 모이게 된다. |
|
조리 |
쌀을 일어 돌을 걸러 내는데 쓰며 가는 시누대오리를 국자 모양으로 결어서 만든다. 물에 담근 쌀을 한 방향으로 흔들면서 조리질을 하면 쌀은 조리에 담기고 무거운 돌만 남게 된다. |
|
주걱 |
솥에서 밥을 퍼 그릇에 담는데 사용하는 나무주걱이다. 통널판재를 깎아 기능만을 고려해 평이하게 만들었다. 방짜 기법으로 만든 놋주걱이다. 자루끝의 둥그런 꼭지는 뜸이 들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소량의 밥을 뜨는데 사용한다. |
|
국자 |
국물이 있는 음식을 떠 담는데 쓴다. 긴 자루와 국자시면이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운두가 낮다. 방짜기법으로 제작하였다. |
|
돌솥 |
곱돌로 만든 가마솥이다. 돌솥으로 밥을 지어 두면 오랫동안 식지 않는 장점이 있다. |
|
나무절구 |
곡식을 찧거나 빻는데 또는 떡을 치는데 사용되는 용구이다. 통나무 속을 우묵하게 파내어 곡식이나 떡을 놓고 절구공이로 찧는다 |
|
맷돌 |
곡식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 때 쓰는 기구이다. 윗짝과 아랫짝을 중쇠로 고정시키고 윗짝의 홈에 ㄴ자형의 손잡이를 끼워 돌린다. |
|
떡살 |
병형(餠型), 떡손이라고도 부르며 떡에 문양을 찍는 제구이다. 나무, 자기, 사기, 옹기 등으로 만든다. 문양은 길상문자, 사군자, 모란문, 국수문 등 다양한데 사(邪)를 물리치고 복을 구하고자 하는 바램이 깃들어 있다 |
|
싸리독 |
껍질벗긴 싸리나무로 만든 수납용구이다. 싸릿대로 항아리 형태를 엮은 다음 안팎으로 장지를 발라 거스러기가 일지 않고 곡식이 그 틈새에 끼이지 않도록 하였다. |
|
나무쌀동 |
굵은 통나무의 내부를 긁어 파내고 상.하단에 둥근 널판지를 붙여 만든 서민용 쌀통으로 소박한 자연미가 물씬 풍기는 세간살이다. |
|
국수틀 |
곡식가루를 반죽하여 넣고 국수를 뽑아 내는 틀이다. 밑짝의 도톰한 부분의 홈에 작은 구멍이 촘촘히 뚫려 있는 철판이 끼워져 있다. 여기에 반죽을 넣고 윗짝을 들어 공이를 내리 누르면 국수가 뽑혀 나온다. 많은 양의 국수가 필요할 때는 국수틀을 가마 솥 위에 걸치고 한다. |
|
인류는 지구상에 살게 되면서부터 맹수와 추위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주거를 마련하여 생활하고 있다. 구석기 시대에는 자연동굴과 바위틈 등 자연적인 지형을 이용하였고, 신석기 시대에는 반지하 구조인 수혈식 주거가 발달하였으며, 적어도 삼국시대에 들어서는 지상에 가옥을 짓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주생활에 쓰이던 물건들 |
종 류 |
설 명 |
사진 |
등잔 |
4각형 나무판에 기둥을 세우고 상단에 등잔받침을 설치한 실내용 등잔걸이이다 |
|
목침 |
여름철에 취침할 때 사용하던 나무 베개로 나막신 형태이다. 목침의 형태는 다양하며, 벼락맞은 대추나무로 만든 것을 상품으로 쳤다. |
|
문발 |
가는 대나무오리를 실로 촘촘히 엮어 만든 가리개의 일종이다. 주거공간의 개방이 불가피한 하절기에 출입문 윗쪽에 걸어둠으로써 심리적 안정공간을 확보하려는 조상들의 지혜가 돋보이는 의장품이다. |
|
죽부인 |
대오리로 길고 둥글게 엮어 여름철에 품에 끼고 자면 서늘한 기운을 취할 수 있어서 어른들이 즐겨 사용하였다. 부친이 사용하던 죽부인은 아들에게 절대 대물림하지 않았다. |
|
요강 |
야간에 안방에 넣어두고 용변을 보던 단지 그릇으로 주로 놋쇠나 사기 등으로 만들었다. 방짜기법으로 제작하였다. |
|
제등 |
나무로 직육면체의 뼈대를 만들고 각면에 가로, 세로 2개씩의 간살을 끼운 다음 안쪽에 한지를 발랐다. 야외용 조명기구로 이동이 쉽게 들쇠에 자루를 끼웠다. |
|
화로 |
내화성이 강한 곱돌을 깎아 만든 사각 화로이다. 한번 달궈지면 쉽게 식지 않는 특성이 있다. |
|
초롱 |
대오리나 철사 등으로 살을 만들어 그 속에 촛불을 켜는 등기구이다. 걸어 놓기도 하고 자루를 달아 들고 다니기도 한다. |
|
쥘 |
선면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부채로 접선(摺扇)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쥘부채를 '고려선'이라 하여 귀하게 여겼다. 부챗살에 종이를 붙이고 선면에 서화를 그려 넣어 멋을 내었으며, 고리에는 선추를 달아 장식하기도 하였다. |
|
곱장선 |
곡두선이라고도 한다. 부챗살의 머리부분을 구부려서 멋도 내고 선면에 힘이 실리게 만들었다. 살을 안팎으로 구부린 이중곡두선과 실로 꿰어 구부린 실 곱장선도 있다. |
|
토시 |
여름에 소매안에 끼우는 것으로 흰 옷에 때가 타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할 때 사용한다. |
|
'교육 > 차와 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크리스마스 테이블 장식 (0) | 2008.12.26 |
---|---|
[스크랩] 茶시-김해지방의 차민요 (0) | 2008.12.22 |
[스크랩] 매화월영(梅花月盈) 둥근 달아래 핀 매화 (0) | 2008.12.19 |
[스크랩] 3000년 되었다는 운남성의 야생 고차수 (0) | 2008.12.09 |
조문할 때 예절 (0) | 200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