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어쩌면…, 이런 생각이 잘못인지도 모른다. 돌아보면 수천년 인류사에서 온전히 평안했던 때가 단 한순간이라도 있었던가. 늘 살아남기 힘든 와중에도 사람들은 구도행을 포기하지 않았고, 많은 이들이 나름의 길을 찾았다. 이건 지금도 마찬가지다. 지난 10~13일 조계종 중앙신도회 부설 불교인재개발원 주관으로 중국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와 장쑤(江蘇)성 쑤저우(蘇州) 일대에서 행해진 선적지 순례는 단순한 여행이 아니었다. 버스에서는 선지식과 강백의 살아있는 법문을 듣고, 순례지에서는 대혜종고(大慧宗고·1089~1163) 선사와 고봉원묘(高峰原妙·1238~1295) 선사의 말없는 사자후를 되새기는 구도행이었다. 스님 30명을 포함한 일행은 모두 108명. 각화산 태백선원장을 지낸 선지식 고우(경북 봉화 금봉암 주석) 스님과 대강백 무비(부산 범어사 승가대학장) 스님이 여정을 이끌고, 상현(천성산 조계암 한주) 스님과 철산(문경 대승사 선원장) 스님 등이 동행했다. 고우 스님과 무비 스님이 살아온 길은 조금씩 다르되 출가 스님 못지않게 재가자들을 상대로 참선과 불교를 가르쳐왔다는 점에서 비슷했다. 공부하고, 수행하기만 하면 출·재가자에 관계없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거였다. 확철대오까지는 아니더라도 ‘나날이 좋은’ 행복은 가능할 거라고 강조해 왔다. 일정은 여흥 없이 빡빡하게 짜여졌다. 길지 않은 여정 동안 일행이 찾은 절은 닝보(寧波)의 아육왕사(阿育王寺)와 천동사(天童寺)를 비롯, 천목산(天目山) 개산노전(開山老殿), 선원사(禪源寺), 항저우 영은사(靈隱寺), 경산사(徑山寺), 쑤저우 인근의 천령사(天寧寺) 등. 고려 대각국사 의천의 원력이 남은 고려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대혜 선사나 고봉 선사의 발자취가 어린 곳이었다. #2. 대혜 선사와 고봉 선사가 누구인가. 초조 달마에서 육조 혜능을 거치며 시작된 중국 선불교는 혜능의 제자 남악과 청원선사를 거치며 선의 황금기를 맞이한다. 하지만 당나라 말기와 북송을 거치면서도 살아남은 것은 조동종과 임제종. 15인의 법사(法嗣·법을 이은 제자)를 배출한 오조 선사, 31인의 법사와 94인의 법사를 각각 배출한 원오 선사와 대혜 선사는 임제종의 선맥을 이은 이들이었다. 고봉 선사는 대혜 선사보다 150여년 뒤에 활동한 임제종 선사다. 15세에 출가해 천태학을 공부한 그는 20세에 선종으로 수행 방향을 바꾼 뒤 15년 동안 화두를 다섯 차례나 바꿔가며 생사를 건 수행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대혜 선사와 고봉 선사가 한국 불교에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이들이 조계종에 미친 영향 때문이다. 대혜 선사는 조계종 수행법의 근본인 간화선(看話禪·화두를 참구해서 깨달음을 얻는 수행법)을 체계화한 인물이거니와 스님의 편지모음인 ‘서장’은 ‘임제록’ ‘벽암록’ ‘허당록’등과 함께 종문(宗門)의 칠부서(七部書)로 일컬어진다. 고봉 선사의 ‘선요(禪要)’는 선의 핵심을 드러내며 화두 참구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나 경계해야 할 사항을 담은 법문집. 강원 필수 교재 중 하나일 정도로 선가에서 중요한 저작이다. 고봉 선사는 특히 조계종의 종조(宗祖)인 고려말 태고보우(1301??381) 선사의 법맥과 이어져 있는 것으로도 전해진다. 하지만 이들이 오늘의 우리에게 중요한 이유는 따로 있다. 이들이 가르침을 편 상대가 전문 수행자나 근기(根氣·수행의 근본이 되는 힘)가 빼어난 사람들뿐 아니라, 재가자와 근기가 모자라는 사람들을 두루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혜 선사의 ‘서장’에 담긴 62편의 편지글 가운데 상대방이 출가 수행자(스님)는 단 2명뿐이고 나머지 40명이 모두 재가자들이다. 이 중 여성인 진국태 부인을 비롯한 일부 재가자들은 깨달음을 이루었거나 그 근처에 간 것으로 전해진다. 고봉 선사도 ‘선요’에서 단박 깨침을 위주로 선의 핵심을 드러내면서도, 근기가 미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화두 참구 과정에서 만나는 각종 병통 등에 대해 설명을 아끼지 않고 있다. 두 선사 모두 그들의 조국 송나라가 요·금·원나라의 침탈을 번갈아 받던 난세를 살아간 것도 같다. #3. 대혜 선사와 고봉 선사가 가장 오랫동안 머문 사찰은 공교롭게도 모두 첩첩산중에 있었다. 고봉 선사가 사관(死關)이라는 이름의 토굴을 짓고 만년 15년을 보낸 장소는 천목산 산중의 천길 낭떠러지 위에 있었다. 선사가 사자암을 지어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에는 아름드리 삼나무 우거진 가운데 ‘개산노전’이라는 이름의 암자가 들어서 스님의 법의를 포함한 일부 유품을 간직하고 있었다. 대혜 선사가 머무르며 ‘서장’에 나오는 서신을 썼던 경산사도 천목산의 사관만큼이나 높은 산중에 있었다. 대나무 숲과 차밭이 번갈아 나오는 좁은 오르막길을 오르며 버스는 줄곧 거친 숨을 토해냈다. 대혜 선사 당시 2000명의 대중이 머물렀다는 대찰, 그러나 만수선사(萬壽禪寺)라는 현판이 걸린 경산사는 의외로 작았다. 대혜 선사를 생각나게 하는 흔적도 없었다. 전각 앞 대형 향로에는 여느 중국 사찰처럼 복을 비는 이들이 피운 향 연기로 자욱했고 법당의 스님들은 구성진 가락으로 염불을 합송하며 선불교와는 거리가 먼 듯한 복잡한 의식을 행했다. 아, 대혜 스님과 관련된 결정적인 증거가 없지 않았다. 바로 선불장(選佛場)이란 이름의 선방이었다. 선적지 순례객들이 선방을 지나칠 수 없었다. 스님, 신도, 기자 가릴 것 없이 하나 하나 자리를 차지한 채 정좌했다. “딱, 딱, 따악~!” 철산 스님이 죽비를 치자 가부좌를 틀었던 이들이 허리를 곧추 세웠다. 조심스럽게 찰칵거리던 셔터 소리마저 잦아들자 정적이 찾아들었다. 기침 소리 하나 들리지 않았다. 그러나 찰나찰나마다 머릿속을 오가는 8만4000가지의 번뇌 망상이라니. 한동안 망념 지우기를 애쓰는데 ‘서장’이며 선사의 어록이 순서 없이 떠올랐다. 망념이 일어날 때 또한 그것을 억지로 그치게 하지 말라. 마음을 떠나있는 고정된 부처는 없나니 ‘번뇌가 곧 보리’이고 ‘미혹이 곧 깨달음’아닌가. 아는가, 세상 만사 모든 일과 작용이 부처이고, 망념이 일어나는 것을 깨달을 때 그 깨달음 또한 부처라는 것을…. 다시 죽비소리 들리고, 짧은 참선이 마무리되자 무비 스님이 떨리는 음성으로 말했다. “마치 대혜 스님 회상에서 공부하는 것처럼 감격스럽습니다.” 감격에 찬 이들은 스님뿐만이 아니었다. 참선을 끝내는 죽비에도 가부좌를 풀지 않은 채 가만히 눈물을 흘리는 이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찾은 쑤저우 인근의 천령사는 대혜·고봉 선사 모두 이곳에서 공부한 인연이 있는 사찰이었다. 대웅보전에서 열린 짧은 법회에서 고우 스님이 법문을 했다. “대혜·고봉 선사의 발자취를 쫓는 길은 멀고 험했지만 우린 참 즐거웠습니다. 진리의 길을 찾아가는 구도의 여정이었기 때문입니다. 인생길도 그렇습니다. 삶이 아무리 힘들고 고통스러울지라도 진리의 길을 따라가면 즐거울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선을 공부하며 진리를 구하는 목적도 오직 하나, 행복하기 위해서입니다.” 법문을 마치고 밖으로 나서자 봄비가 내렸다. 봄비가 내렸으니 이제 백화가 만발하리라. 법당의 기둥에 기대 빗소리를 듣노라니 문득 청원 선사의 그 유명한 어록이 들리는 듯했다. 내가 참선을 시작하기 전에는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었다. 그 뒤 훌륭한 선사를 만나 선의 진리를 찾았을 때 물은 물이 아니고 산은 산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제 마지막 쉴 곳인 깨달음을 얻고 보니 산은 진정 산이고 물은 진정 물이더라. 항저우·쑤저우 = 김종락기자 jrkim@munhwa.com |
출처 : 아라함
글쓴이 : 보선행 원글보기
메모 :
'종교 > 나를 찾아 가는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육왕사 (0) | 2009.03.23 |
---|---|
[스크랩] 천목산 일대 (0) | 2009.03.23 |
[스크랩] 스님·신도 108명의 중국 ‘간화선’ 3박4일 순례기 (0) | 2009.03.23 |
[스크랩] 禪의 뿌리에서 고승들의 시대정신과 만나다 (0) | 2009.03.23 |
김제 망해사와 부설거사 (0) | 2009.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