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방에서 함께 모여들어 낱낱이 무위법을 공부하니,
이곳은 부처를 가리는 장소인지라,
마음이 공하여야 급제해 돌아가리라.”
-고봉 <선요>
어떤 젊은이가 과거시험을 보기 위해서 길을 가던 중 한 스님을 만났다. 스님이 물었다.
“어디를 가는 길인가?”
젊은이가 대답했다.
“과거시험을 보러가는 길입니다.”
“무엇 때문에 과거시험을 보는가?”
“예, 국가의 관리가 되기 위해서입니다.”
“글쎄, 국가의 관리가 되는 것도 좋겠지만, 부처가 되는 것만큼이야 하겠는가?”
“네에?”
젊은이는 그 길로 발길을 돌려 수행도량을 향하게 되었다. 도량(道場)은 바로 부처를 가리는 장
소(選佛場)이다. 부처를 뽑는 것이다. 국회의원이 되거나, 국가공무원이 되어서 국민을 위해 봉
사하는 것도 좋겠지만, 부처나 조사가 되는 것만이야 하겠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부처로 뽑힐 수 있을까? 무위법을 공부해서 마음이 공하여야 급제할 수
있다. 무위법이란 함이 없는(無爲) 공부, 즉 놓는 공부를 말한다. 지식을 쌓고 권세를 쌓고 애착
을 쌓아가는 공부가 아니고, 분별심을 놓고 애착을 놓고 탐.진.치 삼독을 쉬어가는 공부이다. 궁
극적으로 몸과 마음이 공해지는 공부이다. 부처를 뽑는 심사기준은 바로 몸과 마음이 공함을 얼
마나 체득했느냐에 달려있다는 말이다.
나의 실체가 고정되어 있다면
노력은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공(空)이란 ‘텅 비어있음’을 말한다. 텅 비어있어야 무엇으로든 채울 수가 있다. 어떠한 용도로
든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예컨대 건물을 새로 지으면 안이 텅 비어있다. 내부가 텅 비어있으
므로 어떠한 용도로든 사용할 수가 있다. 사무실을 만들건, 음식점을 만들건, 휴게실을 만들건
모두가 가능한 것이다. 이처럼 공은 ‘비어있음’ 그 자체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비어있기
때문에 무엇으로든 ‘채울 수 있음’에 의미가 있다.
몸과 마음이 텅 비어있다는 것은 바로 ‘고정된 실체로서의 몸과 마음’이 없음을 의미한다. 고정
된 실체로서의 몸과 마음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몸과 마음’도 만들어갈 수가 있다. 이미 나의
실체가 고정되어있다면, 나의 노력이나 수행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결정되어있지 않으므로
‘나는 내가 만들어간다’고 하는데 더 소중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공(空)하기 때문에 무엇으로든 채울 수가 있으며, 무아(無我)이기 때문에 어떠한 나도 만들어갈
수 있다. 부처도 될 수 있고, 신도 될 수 있다. 인간도 될 수 있고, 축생도 될 수 있다. 내가 선택
한다. 과거의 인(因)이 현재의 연(緣)이다. 내가 지금 짓는 인(因)이 미래의 연(緣)이다. 다음 가
운데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2. 콩을 심건 팥을 심건 무엇이 날지는 신에게 달렸다.
3. 콩을 심건 팥을 심건 무엇이 날지는 이미 결정돼 있다.
4. 콩을 심건 팥을 심건 무엇이 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