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오방색 정리와 일월오악도 펌자료
오방색
오 행 |
색 상 |
방 위 |
계 절 |
신 상 |
의미 |
상 징 |
몸 |
맛 |
목(木) |
청(靑) |
동(목성) |
봄 -탄생 |
청룡 -파란용 |
인(仁) |
평화 |
간장 |
신맛 |
금(金) |
백(白) |
서(금성) |
가을 -조심스러움 |
백호 -흰호랑이 |
의(義) |
비애,분노 |
폐장과 코 |
매운맛 |
화(火) |
적(赤) |
남(화성) |
여름 -주술 |
주작 -붉은봉황 |
예(禮) |
기쁨, 행복 |
심장 |
쓴맛 |
수(水) |
흑(黑) |
북(수성) |
겨울 -지혜 |
현무 -거북이와 뱀 |
지(智) |
파괴,슬픔 |
신장 |
짠맛 |
토(土) |
황(黃) |
중앙 (토성) |
-천자 |
토용 인황 -중국 |
신(信) |
부. 힘. 왕권,욕심 |
비장 |
단맛 |
오방정색이라고도 하며, 음과 양의 기운이 생겨나 하늘과 땅이 되고 다시 음양의 두 기운이 목(木)ㆍ화(火)ㆍ토(土)ㆍ금(金)ㆍ수(水)의 오행을 생성하였다는 음양오행사상을 기초로 합니다.
또 청과 황의 간색에는 녹(綠), 청과 백의 간색에는 벽(碧), 적과 백의 간색에는 홍(紅), 흑과 적의 간색에는 자(紫), 흑과 황의 간색에는 유황(硫黃) 색이 있어 이들을 오간색(五間色) 또는 오방잡색(五方雜色)이라고 합니다.
황(黃)은 오행 가운데 토(土)에 해당하며 우주의 중심이라 하여 가장 고귀한 색으로 취급되어 임금의 옷을 만들었습니다. 청(靑)은 오행 가운데 목(木)에 해당하며 만물이 생성하는 봄의 색,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색으로 쓰였습니다. 백(白)은 오행 가운데 금(金)에 해당하며 결백과 진실, 삶, 순결 등을 뜻하기 때문에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흰 옷을 즐겨 입었습니다. 적(赤)은 오행 가운데 화(火)에 해당하며 생성과 창조, 정열과 애정, 적극성을 뜻하여 가장 강한 벽사의 빛깔로 쓰였습니다. 흑(黑)은 오행 가운데 수(水)에 해당하며 인간의 지혜를 관장한다고 생각했습니다.
1. 단청의 정의 및 구분
단청이란 각종안료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과 부재에 무늬나 그림을 도채하는 것을 말한다. 나아가 넓은 의미에서는 각종 조각상이나 공예품 등을 채색하는 행위나 서(書).회(繪).화(畵)의 개념을 포함한다.
단청은 건축물의 성격에 따라 불교단청, 궁궐단청, 유교단청, 능원단청으로 나눌 수 있고, 장엄등급에 따라 가칠단청, 긋기단청, 모로단청, 금모로단청, 금단청, 갖은금단청으로 나눈다. 이밖에도 특수단청에는 옻칠단청, 금은박단청, 금은니단청, 칠보단청, 고분단청 등이 있다.
2. 불교단청 특징
사찰의 단청은 존숭의 대상으로서 신앙심을 북돋워 주는데 비중을 둔다. 조선시대 불교단청은 고려시대의 단청을 계승하면서 창의적인 단청을 구사한다. 조선중기 이후에는 다포식 건축의 영향으로 문양도 다채로워지고 채색도 화려해지는 특징이 있다.
주로 쓰이는 문양으로는 연화문 보상화문을 비롯하여 비천, 용 등 불교적 소재를 대상으로한 거의 모든 문양을 쓸 수 있다. 불교단청에는 금문이 쓰이며 별화가 화려하게 장식되어 다른 단청보다 화려한 느낌을 준다.
한 사찰내에서도 건물의 격에 따라 주요건물은 금단청, 갖은금단청으로 화려하게 하고 그보다 격이 낮은 건물은 모로단청, 긋기단청 등으로 간단하게 단청을 한다.
3. 단청의 오방색과 오행설
단청에서는 고래로 황(黃), 청(靑), 백(白), 적(赤), 흑(黑)의 5가지 색이 쓰이는데, 이를 오채(五彩)또는 오방색이라 한다.
오방색은 오행설과 결부되는데, 오행이란 우주간에 운행하는 원기로서 만물을 낳게 하는 기본 5원소를 가리킨다. 5원소에는 목(木)ㆍ화(火)ㆍ토(土)ㆍ금(金)ㆍ수(水)가 있고, 이것은 서로 상생하기도 하고 상극하기도 한다.
오행은 <상서> ‘홍범구주’에 처음 등장한다. 내용은 일상생활의 이용후생을 위해 성질과 효용을 나타낸 것이다. 오행설은 전국시대 ‘추연’에 의해 체계화되었고, 이후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 ‘음양오행설’이 성행하게 되어 오행을 우주조화의 면에서 해석하고, 일체만물은 오행의 힘으로 생성된 것이라 하여 사물을 이에 배당하였다.
4. 오방색과 오행 관련 사료
단청의 오방색과 결합한 오행설은 <주례> ‘고공기’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있다.
金生白, 金克木, 木色靑, 靑白間色碧, 木克土, 土色黃, 靑黃間色綠,
土克水, 水色黑, 黃黑間色騮, 水克火, 火色赤, 黑赤間色紫, 火克金, 金色白 赤白間色紅.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오색은 청, 적, 황, 백, 흑이고, 이들을 혼합해 5가지의 간색(녹색, 벽색, 홍색, 자색, 갈색)을 만든다.
이밖에 이익의 <성호사설>, 정약용의 <여유당전서>에도 오행과 색의 결합에 관한 내용이 전한다.
5. 오방색과 그 효용
오행설은 천문지리학적 사상을 구현하여 방위, 절기 등을 가렸으되 색상을 이에 부합시켰다.
황(黃)은 오행 가운데 토(土)에 해당하며 우주의 중심이라 하여 가장 고귀한 색으로 취급되어 임금의 옷을 만들었다. 청(靑)은 오행 가운데 목(木)에 해당하며 만물이 생성하는 봄의 색,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색으로 쓰였다. 백(白)은 오행 가운데 금(金)에 해당하며 결백과 진실, 삶, 순결 등을 뜻하기 때문에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흰 옷을 즐겨 입었다. 적(赤)은 오행 가운데 화(火)에 해당하며 생성과 창조, 정열과 애정, 적극성을 뜻하여 가장 강한 벽사의 빛깔로 쓰였다. 흑(黑)은 오행 가운데 수(水)에 해당하며 인간의 지혜를 관장한다고 생각했다.
6. 단청색조의 시대별 변천
1)고대
고구려 고분벽화에 사용된 채색의 종류를 보면 흑,,적, 황, 청, 자, 녹, 백색을 기본으로 하였다. 흑백대비를 적절히 사용하고, 퉁거우 5회분 4호분의 경우 보색대비가 두드러진다.
2)고려시대
고려시대에는 빛을 받는 외부기둥에는 붉은색을 칠해 지붕을 받치는 힘을 강조하고, 추녀나 처마부에는 녹청색으로 처리하여 명도를 높여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었다. 즉 위는 푸르고, 아래는 붉게 상록하단(上綠下丹)의 원칙을 지켰다.
3)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건물의 내부와 외부 단청이 다른 색조로 변하였다. 외부단청은 밝은 등황색조로, 실내는 차분한 녹청색으로 처리하게 되었다. 이때 쓰인 주된 색조는 장단, 주홍 황 양록 양청 석간주 등이다. 이 기본색에 분 또는 먹을 혼합하여 명도을 조절하고, 다른색을 혼합하여 간색을 만들었다.
임금의 용상 뒤를 장식하는 그림으로, 해와 달,
그리고 중국의 5악(岳) 중의 하나인 서왕모(西王母)가 살고 있다는 곤륜산을 주제로 그렸기에 일월곤륜도(日 月崑崙圖)라고도 한다.
곤륜산은 중국의 도교(道敎) 전설에 나오는 천하에서 제일 높은 성산(聖山)의 이름으로 서쪽 끝에 위치하면서 서왕모(西王母)가 살고 있다고 한다. 이 곤륜산은 항상 5개의 산봉우리로 표현된다. 왕실의 존엄을 상징하고 있다.
모두 21점이 남아있는데, 창덕궁의 인정전(仁政殿), 창경궁의 명정전(明政殿), 경복궁의 근정전(勤政殿), 덕수궁의 중화전(中和殿) 등에 각각 1점씩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머지 17점은 병풍, 액자, 벽장문짝 등으로 꾸며진 것인데 궁중유물전시관 유물창고에 보존되어 있다.
하늘에 있는 붉은 해와 흰 달은 각기 왕과 왕비를 상징하며, 왕을 상징하는 다섯 개의 산봉우리로 표현된 오봉산은 중국 전설에 나오는 이 세상에서 가장 높고 성스럽다는 곤륜산으로 네모진 힘찬 바위를 첩첩이 쌓아올린 듯한 산봉우리이다. 계곡 양쪽으로 쏟아져 내리는 힘찬 폭포, 동심반원형(同心半圓形)으로 처리된 물 비, 포말을 일으키며 튀어 오르는 파도, 좌우 언덕위에 우뚝 서 있는 소나무들은 한 결 같이 도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한 마리의 동물도 보이지 않는 독특한 환상의 세계를 전개하고 있으며, 왕이 앉는 용상의 뒤를 장식하는 그림이어서 도화서의 화원이 화본(그림의 바탕이 되는 종이나 감)에 치밀하고 장엄 화려하게 그렸다.
일월오악도에 나타난 해, 달, 산, 솔, 물 등은 천계(天界), 지계(地界), 생물계의 영구한 생명력의 표상으로 제신(諸神)의 보호를 받아 자손만대까지 오래도록 번창하라는 국가관의 투영이자 왕실의 지고한 권위를 나타낸 것이다. 일월오악도의 채색은 거의 비슷한데, 산은 초록색, 소나무는 빨강색, 물은 흰색, 달은 회색, 해는 빨강색, 솔잎은 초록색 물감을 써 그렸다. 즉 오색을 잘 배합하여 한국적 감각으로 묘사하였다고 하겠다.
한국학 전반에 관련된 질문 사항은 '한국학 Q&A'(www.koreandb.net)에 오셔서 해주십시오.
그러면 심도 있는 답변이 있을 것입니다
출처 : <궁중장식화>(허영환)
답변을 보면서,
한국인의 신화 이해가 이 정도라면 신화와 원형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흐뭇하기까지 합니다. 다만 신화의 이면에 왜 우리가 이러한 신화를 전승하고 지켜왔는가를 알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은 위의 두 답변을 참조하십시오.
일월오악도, 일월곤륜도 혹은 오봉산 일월도 등으로 부릅니다. 모두 일월, 오봉 혹은 오악, 곤륜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원래의 의미로는 일월곤륜도가 제일 가깝습니다.
일월곤륜도는 곤륜산의 해와 달이라는 뜻입니다. 곤륜산은 帝 혹은 上帝, 옥황상제의 하도, 즉 지상도시라고 부릅니다. 서왕모가 지키고 있으며 현포를 통하여 하늘나라로 연결됩니다.
곤륜은 옥-구슬의 뜻입니다. 곤륜산이 구슬산이라 할 만큼 구슬이 많이 난다고 합니다마는 옥=왕=임금=제=황제=클 대= 클 태=큰 것, 높은 것 등으로 해석됩니다.
나아가 고대 한국어연구에서는 곤륜산=태양산으로 해석될만한 자료와 주장이 발견됩니다. 그러므로 곤륜산은 태양산이고, 고대 한국어로 밝산=백산이 되어 백산 중의 큰 산인 태백산, 혹은 백두산과 통용될 수도 있는 산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호랑이신 서왕모는 삼천년마다 하나씩 열리는 반도복숭아를 지키고 있으며 그 아래 욱루, 신도라는 호랑이 신을 시켜 귀신을 관리합니다. 신도 욱루는 새벽닭이 울거나 인경이 울릴 때까지 하늘로 올라가지 않은 귀신, 해코지하고 다니는 못된 귀신 등을 왼 갈대새끼에 꼬아서 호랑이 먹이로 줍니다.
서왕모는 동이의 경전이라고 중국학자 손작운이 규정하는 산해경에 나옵니다. 머리에는 빗을 꽂은 여자의 모습이고 몸은 호랑이이며 표범의 꼬리를 달고 있는데 가끔 어르렁거리고 삼청조가 물어주는 날고기를 먹는다 했습니다. 산해경의 성립연대, 사상의 일관성, 동이신화라는 공통점 등을 고려할 때 서왕모는 단군신화에서 사람이 되지 못한 호랑이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믿어집니다.
나아가 서왕모는 곤륜산의 산신이며, 하늘의 태양신 환인의 서자 환웅의 아들인 단군 왕검이 구월산에서 산신이 되었다 했으므로 서왕모=산신=왕검과 통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시 왕검은 환웅, 환인과 삼신이 됩니다. 그런데 서왕모는 여자 혹은 할머니이고, 옛날 출산을 맡았던 산파역할과 연상 결합하여 삼신할매가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한국인이 웅녀=곰의 자손이라고 믿으면서도 호랑이를 민족정기로 보는 이유, 한국인에게 호랑이가 유독 인간적인 이유, 삼신할매가 한국인을 점지하고 7살까지 키워주는 이유, 그리고 조선의 왕이 곤륜산의 해와 달 그림 앞에서 정사를 집정하는 이유 등이 설명이 됩니다.
신화는 이야기꺼리가 아닌 민족의 신앙과 원형의 보고입니다. 신화의 전승과 보전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 이유를 밝히지 못하면 신화와 민족의 공통소가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